본문 바로가기

공부

so와 but으로 이어주는 문장과 문장 사이 영어공부

 

 

단원 초반부터 상당히 중요한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하기에, ~때문에 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가 because를 흔히 생각하지만
그보다 더 간단한 so를 가지고도 경우에 따라 긴요한 사용이 가능함을
여기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i drank coffee 난 커피를 마셨어
그리고
i am OK 난 괜찮아
이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어줄 수 있는 단어로 so를 선택하는 거죠.

 

기계적으로 이어 보자면,
i drank coffee so i am OK
난 커피를 마셨어 그래서 난 괜찮아


그래요. 흔히 알고 있던 so의 뜻은 '그래서'였죠.
이 단원에서는 그 흔한 '그래서'의 의미를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도
그 이상의 의미인 '~때문에, ~니까' 등으로도 해석의 여지를 남기는
훨씬 의미있는 접속사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른 예시를 보셔도 알겠죠?
한결같이 '그래서' 라는 의미를 바탕에 두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옆에 있는 팁 부분도 지나치시면 안 돼요~
한참 전에 다른 레벨의 교재를 쓰면서도 다뤘던 거지만
주어가 나와줘야 하는 부분엔 대명사를 써서라도 꼭 써야 합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꼭 일일이 언급해 줘야 되구요~

 


접속사라는 성격은 똑같지만 그 의미가 확연히 달라지는
but 또한 그렇습니다. 흔히 '그러나'라고 알고 있는 그것이죠.
i drank coffee 난 커피를 마셨어
그러나
i am OK 난 괜찮아
이 사이를 but으로 잇게 된다면
i drank coffee but i am OK
난 커피를 마셨어 그러나 난 괜찮아


의미가 확 달라지죠?
원래는 하면 안되거나 하지 않던 것을 했음에도 지금 주어의 상태가 어떻다는
그런 구조의 영어문장을 만들기 위해 사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so that을 쓰는 경우는,
~하도록'의 의미를 가집니다.
대개는 ~할 수 있도록 이라는 의미를 가질 때 쓰는
can이 들어가는 문장에 거의 전용으로 사용된다고 보면 됩니다.
이 역시 예시를 살펴보시면 확실히 알게 되실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