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새로운 단원으로 들어가기 전 체크하자!

 

 

 

지난 4단원이 이렇게 어물쩡(?) 끝났는데요.
그래도 과거형을 가지고 의문문도 만들고, 부정문도 만들고 해서
이 형식에는 어떤 식으로 동사들을 굴려먹어야 하는지
방법을 확실히 알고 나간다는 감이 확실히 오네요 ㅎㅎ


이래놓고 한참 있다 써먹으려고 할 때 까먹으면 곤란한데... ㄷㄷ
요즘 단원 끝부분마다 있는 마지막 페이지를 보면서
단원 본문에서는 미처 다루지 않았던
의외의 표현들 간의 차이를 익혀두고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질문사항이 뭔고 하니.
do you로 시작하는 질문과 are you로 시작하는 질문이
서로 차이가 뭐냐고 묻는 것 같은데,
이건 그 뒤에 붙는 말이 무슨 성격인가를 보면 되지 않을까요?


저야 그렇게 구별지을 수 있다지만 그렇지 않아서
궁금해하고 헷갈려하실 분들이 훨씬 많을 테니 잠자코 보겠습니다 ㅈㅅ
질문에서는 do you happy?는 안 되고
are you happy?만 되냐고 묻는 것 같은데
아래 부분에서 이해되게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ㅎㅎ

 

 


설명인즉슨, do로 시작하는 의문문일 경우는
일반동사가 들어간 문장일 경우인 거죠.
i like you에서 동사가 like잖아요?
그럼 이걸 의문문으로 만들 때 do you like me? 이렇게 되는 게 맞죠.


하지만 happy같은 단어는 그냥 일반적인 문장으로 만든다 치면
i am happy 같이 be동사가 들어와야만
자연스럽고 문법에 맞는 게 됩니다.
그러니까 의문문을 만들 때도 are you happy만이 맞는 표현인 거죠.


물론 이것도 주어의 인칭에 따라 구별을 잘 해야겠죠 ㅎ
does he like ice cream?
is he strong?
do you study English?
are you learning dancing?

 

 


이 문장들 사이의 구별점이 뭔가 저는 확실히 보이네요 ㄷㄷㄷ
딱히 동사랄 것이 없는 문장 속에서는 be동사가 그 역할을 하고
나머지는 like나 study처럼 흔히 보는 동사들이 있죠.
근데 마지막 문장이 헷갈릴 수도 있어요.


learn은 분명 일반동사인데 are you로 시작하는 의문문이죠.
이건 저 동사가 그냥 learn이 아니고 ing가 붙은
~하는 중이라는 의미를 따로 가지고 있어서
그를 묻기 위해 be동사를 소환해야 합니다.
일반형으로 쓴다면 i am learning English가 되겠죠 ㅎㅎ

 


다음 단원은 when을 갖고 문장을 만드려나 봅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언제'라는 뜻을 갖고 있으니
언제 ~하니, 언제 ~할 거야 이런 식의 예문들이 나오겠네요.


당연히 이런 것들로 의문문을 만들겠지만
오히려 걱정이 없는 게 이건 의문문 만들 때 거의 다 쓰이거든요 ㅋ
그 육하원칙에 나오는 5W1H는 다 의문문 용도라고 봐도
틀린 말은 아닐 것 같은데요 ㅎ

 


참고로 5W1H는 말 그대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입니다.
who, when, where, what, how, why 이렇게죠 ㅋ
자만심 넘치는 잡지식을 뜬금없이 폭발시켰는데
다음 장 펼쳐보지도 않고 또 셀프 설레발 쳤네요 ㅜㅜ
안 그래도 육하원칙 써놓은 줄도 모르고 혼자 좋다고 ㅋㅋㅋ


자 과연 여기 적혀 있는 것처럼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저를 이끌어줄 수 있을 지는 페이지를 넘겨봐야 알 것 같네요 ㅎㅎ